2025년 재산세 고지서 납부기한 완벽가이드 | 7월·9월 납부일정, 분할납부 방법, 부과기준 총정리
📋 재산세 고지서 납부기한, 납부방법, 부과기준 완벽 가이드 💰
2025년 재산세 고지서 납부기한, 납부 방법, 부과기준 및 세율, 공시가격 변동상황에 따른 재산세 세수현황 등을 정리했습니다.
🗓️ 재산세 납부기한
과세대상 | 납부시기 | 납부기한 |
---|---|---|
주택 (1차분) | 7월 | 7월 16일~31일 |
주택 (2차분) | 9월 | 9월 16일~30일 |
건축물 | 7월 | 7월 16일~31일 |
토지 | 9월 | 9월 16일~30일 |
선박·항공기 | 7월 | 7월 16일~31일 |
⚠️ 연체가산세: 납부기한을 넘기면 3% 가산금이 부과됩니다.
💡 특별 규정: 주택분 재산세 총액이 20만원 이하인 경우 7월에 전액 일시 부과됩니다.
💳 납부방법 (일시납/분할납부)
🏦 다양한 납부 채널
- 위택스(WeTax) - 지방세 통합 납부사이트
- 각 지자체 홈페이지
- 인터넷뱅킹 및 모바일뱅킹
- 계좌이체 자동납부
- 전국 은행 및 우체국 창구
- 편의점 (바코드 납부)
- 구청·동사무소 수납창구
- 주택: 7월(1/2) + 9월(1/2) 자동 분할
- 기타 부동산: 일시납 원칙
- 고액 납세자: 별도 분납 신청 가능
📊 부과기준 및 세율
🧮 재산세 계산 공식
과세표준 산정 기준:
- 주택: 공시가격 × 60%
- 토지: 개별공시지가 × 면적 × 70%
- 건축물: 시가표준액 × 60%
구분 | 과세표준 | 세율 |
---|---|---|
주택 (일반) | 6천만원 이하 | 0.1% |
주택 (일반) | 6천만원 초과~1.5억원 | 0.15% |
주택 (일반) | 1.5억원 초과~3억원 | 0.25% |
주택 (일반) | 3억원 초과 | 0.4% |
토지 | 종합합산 | 0.2% (단일세율) |
건축물 | 일반 | 0.25% |
📈 공시가격 변동상황
지역 | 2025년 변동률 | 비고 |
---|---|---|
서울 | +7.4% | 최고 상승률 |
경기 | +3.1% | 상승 |
인천 | +2.4% | 상승 |
세종 | -2.7% | 하락 |
대구 | -2.2% | 하락 |
부산 | -1.2% | 하락 |
💰 세금 영향: 공시가격 상승으로 인해 재산세 부담이 증가하며, 특히 서울 지역의 재산세 인상폭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.
💸 재산세 세수현황
📈 최신 세수 현황
2024년 주택 보유세수 (잠정)
- 전체 보유세수: 6.9조원 (2023년 대비 0.2조원 증가)
- 재산세: 5.9조원
- 종합부동산세: 1.0조원
2025년 전망
- 주택 보유세: 7조 3천억원 (전년 대비 5.6% 증가)
- 증가 요인: 주택 공시가격 상승이 주요 원인
🔥 최신 핫 뉴스
📰 주요 최신 동향
최근 재산세 관련 주요 이슈는 공시가격 상승으로 인한 세부담 증가와 납부 관련 제도 개선에 집중되고 있습니다.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재산세 납부기한을 놓치면 어떻게 되나요?
A: 납부기한을 넘기면 3%의 가산금이 부과됩니다. 또한 체납처분을 받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기한 내 납부하시기 바랍니다.
Q2. 주택을 중간에 매매했는데 재산세는 누가 내나요?
A: 재산세는 과세기준일(6월 1일) 현재 소유자가 납부해야 합니다. 6월 1일 이후 매매가 이루어져도 기존 소유자가 그해 재산세를 모두 납부해야 합니다.
Q3. 1세대 1주택자 특례세율은 어떻게 적용되나요?
A: 1세대가 1주택만 보유한 경우 일반세율보다 낮은 특례세율(0.05%~0.3%)이 적용되어 최대 50% 정도 감면 효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.
Q4. 재산세를 자동이체로 납부할 수 있나요?
A: 네, 각 시·군·구청에서 자동이체 서비스를 제공하며, 인터넷뱅킹이나 모바일뱅킹을 통해서도 자동이체 설정이 가능합니다.
Q5. 공시가격이 올랐는데 재산세는 얼마나 더 내나요?
A: 공시가격 상승률에 따라 재산세도 비례적으로 증가합니다. 2025년 전국 평균 3.3% 상승으로 재산세 부담도 약 3-4% 정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.
Q6. 재산세 고지서를 받지 못했는데 어떻게 하나요?
A: 고지서를 받지 못해도 납부의무는 소멸되지 않습니다. 해당 시·군·구청이나 위택스(WeTax)를 통해 납부할 수 있으며, 고지서 재발급도 가능합니다.
💡 재산세 납부 체크포인트
✅ 납부기한 확인 → ✅ 납부방법 선택 → ✅ 자동이체 설정 → ✅ 연체가산금 방지
※ 본 정보는 2025년 기준이며, 세부사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